안녕하세요 친절한토선생입니다.
최근 밀레니얼 세대를 중심으로
플렉스 현상이라는 게 대두되고 있어
화제인데요.
요즘에는 이러한 현상이
중고등학생을 포함해
학생들 사이에도 퍼지고 있습니다.
오늘은 그러한 플렉스 현상에 대해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1. 플렉스 현상이란?
노스 패딩과 같은 패딩 계급도
대장 패딩 추천 등등의 말을 한 번쯤은 들어보셨을 텐데요.
이러한 대장급 패딩들은 최소 70만 원 이상 하기 때문에
패딩을 사주려고 하다 보니까
부모가 힘들어서 등골이 휜다
요즘에는 자식들이 등골브레이커다.
이런 말 들을 한 번쯤은 들어보셨을 겁니다.
2. 플렉스 현상의 확산
앞서 언급한 것처럼 최근 청소년들 사이에서
플렉스(Flex) 현상이 확산되고 있는데요.
'플렉스'란 '돈을 쓰며 과시하다',
'과소비하다'는 뜻으로
일부 청소년의 경우, 부모를 졸라
명품을 구매하는 경우도 있어
학부모의 고민이 많아지고 있는데요.
전문가들은 10대들의 자기 과시 욕구 등이
플렉스 상황을 만들었다고 지적하는데요.
3. 청소년이 과소비(플렉스)를 하는 이유
한 부모의 경우 딸이 최근 들어
자꾸 '구찌' 가방을 사달라고 하는데
딸이 말하길 친구들은 다 명품가방이 있는데,
자기만 없어서 뒤처지는 느낌이 든다.
집안에 돈이 넉넉한 것도 아닌데
비싼 가방을 사달라고 하니까 걱정이라고
토로했는데요.
한 청소년은 자신이 과소비하는 이유에 대해
친구들과 함께하기 위해 어쩔 수 없이
플렉스를 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는데요.
자신의 경제력 상황과 관계없이
교우 관계를 위해 등 떠밀려 과소비를 하는 현상입니다.
명품을 가지고 있는 아이들은
그 친구들끼리 무리를 이뤄서 논다고 하소연하는데
이러한 명품을 위해 몇 달 동안 알바를 하는 학생들이나
극단적으로 도둑질까지 하는 학생들이 늘어나고 있다고 합니다.
3. 결론
비교하기 좋아하는 한국의 사회적 특징이 이런 문화를 만들었다지만,
이런 현상으로 인해 부모님들이 힘들어하는 게 보여 안타깝네요.
'♣ 경제 사회 현상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월급으로 주식하는 군인장병들 증가 병정개미? (0) | 2023.02.20 |
---|---|
게임대신 주식하는 미성년자들 꼬마개미의 등장 (0) | 2023.02.20 |
한전 주가 하락에 영향을 준 ESG경영이란? (0) | 2023.02.19 |
한국 노인 40%는 빈곤층? (0) | 2023.02.17 |
로또 당첨 확률은? 로또 407억 당첨으로 알아보는 로또가 로또인 이유 (0) | 2023.02.0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