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최근 이슈 ♣

대한민국 평균 연봉과 연봉 상위권의 연평균 연봉은?

by 친절한토선생 2023. 2. 19.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친절한토선생입니다.

 

코로나 사태 이후로 IT개발자의 연봉 인상으로,

이럴 줄 알았으면 컴공에 갈걸 그랬다!

라고 말씀하시는 분들이 늘어났는데요.

 

억대 연봉을 받는 사람들이 늘어나면서,

대부분 직장인들의 경우,

연봉 격차로 인해 상대적 박탈감을 느끼는 

경우도 많아졌습니다.

 

특히 아파트가격이 하락세라고는 하지만,

여전히 월급만으로 구매가 어려워진 현실 속에서,

고민을 가지는 분들이 많은데요.

 

과거와 다르게 재테크가 선택이 아닌,

필수로 바뀐 이유나

20~30대 MZ세대들의 공격적인 투자 성향,

대표적으로 일컬어지는 주식, 코인, 영끌투자 등은

이러한 사회 현상을 보여주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오늘은 대한민국 평균 연봉과,

연봉 상위권의 연평균 연봉에 대해서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대한민국 평균 연봉과

연봉 상위권의 평균 연봉은?

2021년 1월 10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김희곤 국민의힘 의원이 국세청에서 받은,
2019 귀속 연도 근로소득 자료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근로소득자 상위 0.1%의

연평균 급여의 경우에는 
7억 7000만 원에 육박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요. 

이는 중위소득(전체 소득 신고자의 중간 값)

근로자 급여의 27배 수준입니다.

근로소득자 상위 0.1%

1만 9167명의 연평균 급여는 

7억 6760만 원이었으며,

전체 근로소득을 신고한 사람을 

금액별로 줄을 세웠을 때,

 

정중앙에 있는 중위소득자의 연평균 급여는 

2820만 원으로 집계됐습니다.

근로자 상위 0.1% 급여는 

중위소득자의 27.2배에 달했는데요.

상위 0.5%로 범위를 넓힐 시,

연평균 급여는 3억 6540만 원으로 나타났고,

이는 중위소득자의 13배입니다.

또한 상위 1%의 연평균 급여는 

중위소득자의 9.6배인 2억 740만 원이었고,

상위 10%7830만 원으로,

중위소득자의 2.8배로 나타났습니다.

 

수저론 기준표

 

요즘은 부모의 힘, 배경,

재산을 얼마나 타고나냐를

 

금수저부터 은수저, 동수저,

흙수저 등에 빗대어 표현하곤 하는데요.

이렇게 태어나자마자 부모의 직업, 

경제력 등으로 본인의 수저가 결정된다고,

 

말을 하지만 현대의 부자는

30대~40대에 결정된다고 합니다. 

포기하지 말고, 발품 뛰고 노력해서,

모두 경제적 자유를 누리셨으면 좋겠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