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친절한토선생입니다.
코로나가 터지고,
코인 시장이 활성화 됨에 따라,
그래픽 카드를 이용해서,
코인 채굴을 하는 사람들도 많아졌는데요.
최근에는 컴퓨터에 프로그램을 심어,
코인을 채굴하는 사람들도 생겼는데요.
피시방의 경우 손님이 없는 심야 시간에,
코인을 채굴하는 곳도 있다고 합니다.
최근에는 그래픽 카드가 발전함에 따라,
지포스는 4090까지 나왔는데요.
게임을 좋아하는 사람들이라면
그래픽 카드에 관심을 많이 가질 겁니다.
특히 이러한 수요와 함께
동굴처럼 복잡한 구조라고 해서 붙여진 '용던(용산 던전)',
악질 전자기기 판매업자를 일컫는
'용팔이' 등으로 인해 이미지가
안 좋은 용산에서는
최신형 그래픽 카드가 등장하면,
매크로까지 이용해 사재기를 해서 되팔아,
제 값에 구매하기가 어려운 현실인데요.
2020년 당시 90만원에 출시된,
RTX3080/3090을
200만원 대에 웃돈을 붙여서 팔았고,
2020년 12월에는
청와대 국민청원까지 등장했습니다.
오늘은 이러한 그래픽카드 사재기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RTX3080/3090 사재기의 시작
2020년 RTX3080은
게임 구동에 최적화된 그래픽카드로
출시 전부터 큰 관심을 모아왔는데요.
총판업체인 인택엔컴퍼니는
RTX3080을 용산전자상가가 아닌 쿠팡,
오픈마켓에서만 유통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높은 마진을 붙여 소비자에게 폭리를 취하던,
용산전자상가 중심의
국내 컴퓨터부품 유통 구조를 개선하겠다는 취지에서였는데요.
하지만 용산전자상가 일부 상인들은 매점매석을 한 뒤,
높은 가격에 되파는 방법으로 여전히 폭리를 취하고 있습니다.
이 과정에서 매크로(반복 작업을 하는 자동화 프로그램)까지
썼다는 의혹까지 사고 있는데요.
소비자에게 폭언, 바가지요금 등으로
‘용팔이’라는 오명을 사고 있는 용산전자상가 일부 판매점이,
최신 그래픽카드 사재기를 통한 매점매석 폭리로 공분을 사고 있고,
과도한 매점매석 사재기 폭리로 용산이 시끌벅적인데요.
용산판매점에서는 온라인에서 90만원대에 판매되던,
2020년 엔비디아의 최신 그래픽카드 ‘RTX3080’가
무려 115만원 이상의 가격에 판매되고 있습니다.
25만원에서 많게는
100만원 이상 웃돈을 붙인 바가지 가격인데요.
근데 문제는 현재 RTX의 경우
용산외에는 구입이 힘든 상황입니다.
용산전자상가 일부 판매점들이
사재기로 제품을 ‘싹쓸이’ 해 갔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고객들의 항의가 빗발치고 있고,
이러한 현상을 해결해달라고 국민청원까지 등장했습니다.
2. 국민청원에까지 등장한 용산의 그래픽카드 사재기
용팔이와 관련된
국민청원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자면,
2020년 10월 청와대 국민청원게시판엔
‘RTX3080/3090 그래픽카드의
불합리한 현금 되팔이를 막아달라’는
내용의 청원이 올라왔습니다.
자신을 ‘컴퓨터에 관심이 많은 대한민국의 한 국민’이라고 소개한,
이 작성자는
RTX3080 그래픽카드가
불공정한 방법이나 업체 단합으로
기업이 정한 권장소비자가격보다
높은 가격에 판매되고 있는 것을 막아달라 호소했는데요.
용산전자상가 일부 판매점의
횡포를 막아달란 청원글은 이번이 처음이 아닙니다.
벌써 몇 년째 유사한 내용의 청원글이 잇따르고 있는데요.
특히 비트코인 채굴 열풍으로
그래픽카드 수요가 폭증하던 시기엔
청원글이 대거 올라오기도 했지만,
바가지 가격은 3년이 지난 아직까지도
근절될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습니다.
3. 그래픽 카드 되팔이의 문제점
실제 오픈마켓, 온라인 중고거래사이트 상에선
용산전자상가 판매점발 ‘고가’의 그래픽카드를 손쉽게 접할 수 있는데요.
90만원대에 출시된
ASUS의 TUF Gaming 지포스 RTX3080은
중고거래사이트에서 115만원 안팎에 가격이 형성됐고,
오픈마켓에선 아예 씨가 말랐습니다.
MSI, 기가바이트, 이엠텍 등
다른 제조사의 RTX3080도 오픈마켓을 중심으로
적게는 20만원, 많게는 50만원 이상 판매되는 상황이며,
일부 제품은 100만원 이상의 웃돈이 붙어 220만원 상당에 올라왔는데요.
한 소비자는
“운 좋게 100만원 미만의 제품을 발견해도,
사기일 가능성이 높아 쳐다보지도 않는다”고 말했습니다.
전날에도 한 중고거래장터에서
RTX3080을 95만원에 내놓은 판매자가
돈만 받고 잠수를 탄 일이 벌어지기도 했습니다.
부당 판매의 고리를 끊으려는 움직임이 없었던 것은 아닙니다.
위에서 언급한 것처럼
2020년 9월 ASUS가 제조하는
RTX3080의 한국 총판업체 인택엔컴퍼니는
RTX3080을 용산 도소매업자들이 아닌
쿠팡 등 오픈마켓에서만 유통한 바 있는데요.
마진을 붙여 폭리를 취하던 용산전자상가 중심의
국내 컴퓨터부품 유통구조를 개선하겠단 취지였습니다.
이후 기가바이트 등 다른 제조사들도
오픈마켓에 제품을 넘기거나,
가격을 하향조정하며 가격 안정화에 대한 기대감이 컸는데요.
그러자 용산전자상가 일부 상인들은
물량을 사재기해 웃돈을 붙여 되팔기 시작했습니다.
이 과정에서 매크로(반복 작업을 하는 자동화 프로그램)를
돌렸단 의혹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결과적으로 소비자 입장에서 변한 건 아무것도 없는 셈인데요.
현재로선 매점매석을 막을 방안이 없다는 것도 문제입니다.
매점매석과 관련된 법률인
물가안정에 관한 법률 제7조를 보면,
‘기획재정부장관이 물가의 안정을 해칠 우려가 있다고 인정해,
매점매석행위로 지정한 행위를 해서는 안된다’고 명시돼 있는데요.
2014년 지정된 담배, 2016년 지정된 빈용기,
2020년 초 지정된 마스크와 손소독제 등
일부 품목을 제외하고는,
매점매석에 제한을 두지 않고 있기 때문입니다.
'♣ 재테크 ♣ > ♥ 리셀 ♥'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정판 신발재테크란? 한정판 신발 리셀의 수익률은? (0) | 2023.02.21 |
---|---|
샤넬백 재테크의 수익률은? 샤테크의 수익률 (0) | 2023.02.20 |
롤테크의 수익률은? 롤렉스재테크(롤테크)란? (0) | 2023.02.19 |
(신발재테크) 국민 신발로 전락한 나이키 범고래의 몰락 (0) | 2023.02.15 |
댓글